반응형

펜타프리즘/사진 1470

봄날, 가마우지

벚꽃이 가득 피던 봄날 가마우지(cormorant) 도 카메라에 담아봤습니다. 촬영장소는 안산중앙도서관과 안산호수공원 사이로 안산천, 화정천이 합류하고 몇분 거리에서 시화호로 흘러들어가는 지점입니다. 겨울에 못보던 녀석들이 봄되고 돌아온 듯 합니다. 가마우지의 깃털이 마치 기름종이마냥 물이 스며들지 않게 해주나 봅니다. 강속으로 대략 20미터를 잠수해서 이동하더군요.. 기다렸다 찰칵!

노루귀와 봄꽃들

한달전에 안산식물원에서 찍었던 노루귀 등의 봄꽃 사진입니다. 봄꽃 중에서 꽤 인기있는 아름다운 꽃이죠. 사실 식물원내 꽃밭에서 가까이 다가가 찍어보고 싶었는데 꽃밭에 새싹이 돋아난다고 접근금지라는 푯말이 보여서 그냥 멀리서만 찍었습니다. 망원렌즈라도 가져왔으면 좋았을걸요.. 이건 아마도 제비꽃 종류인 것 같습니다. 야간 때이르게 피었던 녀석.. 지금은 한창 피어나고 있지만요. 페라고늄이나 제라늄을 닮은 것 같은데 이름을 알고 싶네요. 아시는 분 있으면 감사~^^ 봄꽃들이 갑자기 한가득 피기 시작한 느낌입니다. 심지어는 들판의 잡풀들도 제각기 꽃을 피우는데 그런 이름모를 풀들을 사진에 담는것도 재밌습니다.

호랑이를 찌른다는 호자나무[虎刺]

학명 Damnacanthus indicus 의 호자나무입니다. 호자[虎刺]의 뾰족한 가시가 호랑이를 찌른다는 의미인데 탱자나무의 가시마냥 긴 가시가 비교적 좁게 달라붙어 있어서 접근하기 불편해 보이더군요. 처음 이 열매를 보고 무슨 악마의 열매같은 느낌이었습니다. 받침이 4갈래가 그대로 열매의 끝부분이 되서 마치 악마의 뿔처럼 보입니다. 꽃은 못 보고 열매만 봤으니 언젠가 꽃도 볼 기회가 있겠죠...

안산 벚꽃 - 안산호수공원 부근에서

벚꽃이 때이르게 피기 시작했다고해서 서둘러 벚꽃 구경갔다 왔습니다. 안산에서 벚꽃이 좋은 곳이 몇 군데 있는데 안산호수공원 근처가 덜 붐비고 자전거 라이딩하기도 좋을 것 같아서 그 곳으로 다녀왔습니다. 벚꽃 핀 거리에는 벚꽃구경 나온 시민들이 좀 있어서 초상권도 있고하여 사진찍기 좀 애매하긴 하더군요. 그래서 가능하면 심도를 얇게해서 찍게 되네요. 그리고 벚꽃 개화상태는 전체적으로 아직 만개는 아닌것 같더군요. 안산호수공원 쪽이 좀 덜 핀 편이었고(사진 맨 마지막), 호수공원 맞은편 행복한마을에서 호수마을 아파트 근방은 2/3 이상 핀것 같은데 만개는 아닙니다. 아마도 이번 주말 만개하여 벚꽃 구경은 피크가 될 것 같습니다. 최상의 벚꽃을 보시려면 이번 주말을 노려보심이 좋을 것 같습니다. 비소식만 없다..

서향(瑞香 : 천리향)과 다프네(Daphne)

안산식물원에서 본 서향나무(천리향) 입니다. 서향이란 이름은 모르겠지만 천리향이라면 무협지에서 들어본 것 같은 그런 이름이죠 ^^; 꽃은 빼어난 정도는 아니고 향을 기대해서 코를 들이대고 냄새를 맡아봤는데 확실히 향은 진한 편인데 개인적으로 그다지 좋은 편은 아니었습니다. 뭐라고 표현하기도 좀 어정쩡한 향.. 서향의 학명은 Daphne odora 인데 그 이름이 너무 익숙합니다. (Daphne는 속명, Daphne odora는 종명) Daphne는 그리스 신화에 좀 관심있으면 아실 이름인데 아폴로 신에게 쫓기다 월계수로 변한 님프 다프네입니다. odora는 이름에서 향이라는 것을 알아채실 겁니다. 아래 사진이 아폴로(Aollo)신에게 쫓기다 월계수로 변하는 다프네를 그린 유명한 조각이죠. 바로크시대 이탈..

봄 풀밭의 큰개불알풀(veronica persica)

봄이 무르익으면서 갖가지 꽃이 피어나고 있는데 눈높이 위쪽의 나무들 뿐만 아니라 눈높이 한참 아래쪽의 잡풀들도 꽃을 피우기 시작합니다. 꿀풀목(Lamiales) 질경이과(Plantaginaceae)의 큰개불알풀도 파란꽃을 피우기 시작하더군요. 학명(종명)은 veronica persica이고, Persian speedwell, large field speedwell, bird's-eye, or winter speedwell 등으로 불리우는데 큰개불알풀이란 이름은 '오오누부꾸리(オオイヌノフグリ)'란 일본어를 직역한 말입니다. 고유이름인줄 알았는데 좀 실망스럽긴 하죠 ^^; 네이버 검색 대부분은 현삼과(Scrophulariaceae)로 표기하고 있으나 위키피디아에는 질경이과(Plantaginaceae)로 분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