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뷰 762

내집마련을 위한 기간을 단축하려면 전략적 계획을 세워라

내집... 대한민국 일반 직장인들의 꿈이자 목표입니다. 특히 독립생활을 하는 기혼자라면 생애 첫 재무목표로 대부분 내집마련을 꼽기 마련입니다.. 그만큼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내집마련에 크건작던 욕심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녹녹치 않아서 내집마련에 걸리는 기간은 점점 길어지고 요즘같은 경우에는 특히나 전세난으로 골머리를 썩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내집마련을 포기해야 하느냐? 그렇지도 않습니다.. 그럴때일수록 내집마련을 위해 단계적으로 전략을 세워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저축과 목표기간 설정 지금 당장 주택마련은 어렵더라도 미래의 내집을 위한 목돈 모을 계획이 필요합니다.. 그 대표적이고 안정적인 방법은 물론 저축입니다... 그런데 저축기간과 목표금액이 설정되어야 월 저축액도 결정할 수 ..

[영화] 아이언크래드(Ironclad) (2011) - 마그나 카르타 직후를 다룬 역사물

영국과 미국의 합작 영화인 2011년작 ironclad 입니다.. 우리말로는 철갑 쯤으로 해설할 수 있습니다.. 개봉은 불투명... 아마도 안 할것 같습니다.. 네이버에는 "아이언크래드" 라고 엉뚱한 80년대식 발음으로 타이틀이 달려있습니다.. "아이언클래드" 로 달면 좀 어디가 덧나나요? 아쉽게도 영화의 한글 자막은 아직 없습니다.. 영문 자막도 찾아보기 힘들고, 겨우 찾은 것도 플레이 내내 광고가 섞여들어있고 글자도 깨져있고, 실제 대화와 다른 마치 같은 내용의 또다른 대본을 자막으로 만든것 같은 느낌입니다.. 어쨌거나 얇은 영어 듣기능력과 읽기 능력으로 영화를 보았습니다.. 영화 배경은 십자군전쟁 중 영국에선 존왕(King John)이 봉건영주들, 정확히는 baron들과 대헌장(Magna Carta..

[컴퓨터 팁] 대화형 서비스 감지 끄는 법

컴퓨터 사용중 "대화형 서비스 감지" 창이 계속 뜨면서 귀찮게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넷북에서 이런 일이 있었는데 며칠 지나자 저절로 없어지긴 하더군요.. 그런데 이런 메시지가 처음부터 안 뜨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제어판의 관리도구에 들어가서 창이 뜨는걸 막아버리는 방법인데요, 우선 "시작-제어판-관리도구-서비스" 로 이동합니다.. "서비스"로 이동한 곳에보면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Interactvie Services Detection" 항목을 클릭하면 속성을 바꿀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사용 안 함" 을 선택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은근히 짜증나는 이 메시지... 과함하게 죽여버리세요... ㅎㅎ

비오는 날의 지우개신공

비가 옵니다.. 일주일전 집을 나갔는데 그때도 비가 오고 있었습니다.. 집에 돌아온 오늘... 컴퓨터를 켰는데 작동을 않합니다.. 이런 된장... 비가 컴퓨터를 죽인걸까요...T.T 컴퓨터 본체 뚜껑을 엽니다... 먼지가 가득... 너무 많습니다.. -_-; 먼지를 다 털어내야 할까요... 귀찮습니다.. 컴퓨터 부품 무언가에 이상이 있는지... 모릅니다.. 그냥 비상메뉴얼 1번이라도 되는 듯 VGA카드를 뺐다 다시 꼽아보는데... 여전히 컴퓨터는 먹통... 귀차니즘을 이겨내고(?) 램 슬롯에서 안전핀을 젖히고 램을 뽑아냅니다.. 그리고 램 하단부에 빼빼로의 쵸코처럼 발라있는 금빛 접촉부를 하얀 지우개로 박박 문질러댑니다... 이름하여 지우개신공... 램슬롯에 다시 꼽은 후, 설마 이정도로 컴퓨터가 정상으..

[스마트폰 어플 비교] 응급상황 도우미 - 보건복지부 vs 소방방재청

손안의 PC, 스마트폰. 뭐든 다되는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 그 중에는 응급상황에 어떻게 대처를 해야하는지 도움을 주는 어플리케이션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보건복지부와 소방방재청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었습니다. 두 정부기관의 어플리케이션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 보건복지부 "응급의료 1339" - 보건복지부에서 만든 "응급치료 1339" 의 최초 구동화면입니다.. 메뉴는 크게 "병원검색", "응급의료서비스", "개인설정" 로 나뉘어져있는데 기본화면 하단에 항시 보여집니다. 1. 병원검색 서비스 병원검색 메뉴는 다시 다음과 같은 하위 메뉴로 나뉘어집니다. 말 그대로 응급시 바로 이용가능한 각종 병원시설을 시설을 찾아줍니다. 1) "1339" 전화연결 2) 내주변응급실 찾기 3) 병의원, 약국 찾기 4) 응..

[애니] 토르 : 테일즈 오브 아스가드 ( Thor : Tales of Asgard )

토르의 청소년기를 다룬 이야기입니다..아직 토르의 전용 망치 '묠니르(Mjolnir)' 도 아직 사용도 않하고 있군요.. 영웅은 커녕 응석받이에 가까운 철부지 소년에 가깝군요.. 그래도 이 애니에서는 철부지가 자신의 만용으로 전쟁이 일어나고 종족을 위험에 빠지게 만들면서 책임감을 느끼고 영웅의 길을 자각하는 그 과정에 서 있는 얘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묠니르 망치는 안나와도 이번 애니에서는 Lost Sword of Surtur 라는 막강한 칼이 나옵니다.. 제가보기엔 묠니르보다 훨씬 강력해보이는 칼이던데요.. ㅎㅎ 재밌는것은 토르의 천적인 어린 로키(Loki : 위 그림의 칼빼려는 녀석... 뒤에 서있는 건 토르)가 아직까지는 비교적 착하게 나온다는 겁니다... 뭔가 마법을 열심히 배우고 있는것 같은데..

foobar2000에서 m4a 파일 재생하기 - ALAC Decoder 간단 설치

푸바2000(foobar2000)에서 m4a 파일을 재생하고 싶을때 가능케 해주는 파일입니다.. 푸바에서 컴퍼넌트 등록을 해주면 되는데 어렵지 않습니다.. ps. 구버전에서는 컴퍼넌트를 등록시켜야 했는데 푸바 최신버전은 m4a를 기본 재생시켜주는군요. 따라서 컴퍼넌트 따로 받지 말고 최신 버전을 받으시는게 나을 듯 합니다. 아래 링크로 가시면 됩니다. 푸바2000 공식 페이지 : http://www.foobar2000.org/ foobar2000 다운로드 및 활용팁 (파일연결, APE 재생): http://naturis.tistory.com/759 우선 푸바를 실행시킨후 메뉴의 File - Preferences 로 이동합니다. 맨위의 Components 를 선택하면 우측 하단에 install 이라는 버튼..

더 브레이브(True Grit) 오리지널판(1969년) vs 2010년판

2010년도 개봉한 '더 브레이브(True Grit)'을 보는 김에 이 영화의 오리지널인 1969년도 동명의 영화를 같이 보았습니다. 1969년판에서는 '진정한 용기(True Grit)' 라는 타이틀로 개봉했습니다.. 포스터에서만 보면 1969년판 오리지널이 서부영화의 느낌이 물씬나긴 합니다. 소소한 스토리의 생략과 추가가 있긴 하지만 대강의 스토리는 두 영화 거의 비슷합니다.. 두 영화 다 실질적 주인공은 보안관 루스터 카그번입니다... 그가 true grit(용기, 배짱)을 가진 사람으로 표현되거든요.. 큰 차이점은 두 주인공 총잡이가 악당 등을 덥치는 장면과 라 뷔프의 마지막 모습..그리고 매티 로스 역의 헤일리 스테인펠드의 마지막 모습.. 1969년작에서는 라 뷔프가 죽고 독사에 물린 매티 로스의..

[추천 어플] 스마트폰 무료문자 종결자 LightSMS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되면서부터 카카오톡이나 마이피플같은 무료 모바일메신저를 이용하게 되면서 문자요금에 들어가는 돈이 거의 없게됬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자를 받을 사람이 카카오톡이나 마이피플을 사용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게 되죠.. 이런 문제를 보안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이 LightSMS 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무료문자를 주는 건 아니고 인터넷 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무료문자를 스마트폰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예를들면 네이트온에서 사용하던 무료문자를 스마트폰에서 사용하게 해준다는 개념입니다... 네이트온 뿐만 아니라 여러 계정을 등록해서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LightSMS의 초기화면입니다... 화면 중간에 광고가 들어가있긴 하지만 신경쓰일 정도는 아닙니다... 무료..

[애니] 마루 밑 아리에티(借りぐらしのアリエッティ, The Borrower Arietti, 2010)

비교적 최근작인 애니메이션 '마루 밑 아리에티(借りぐらしのアリエッティ, The Borrower Arietti)'를 보았습니다. 애니메이션을 좋아해서 일본 미국 가리지 않고 자주 보는 편인데 근래 본 애니메이션 중에서 가장 정적인 작품인것 같네요.. 이 애니메이션의 원작은 메리 노튼(Mary Norton)의 "The Borrowers" 라는 1952년작 베스트셀러 소설입니다.. 그 후에도 소설은 시리즈로 발간되었고 각종 영화와 드라마 그리고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borrowers는 borrow (빌리다)하는 자들... 즉 빌려가는 자들이라는 뜻입니다... 사실상 훔치는 것이긴 하죠.. ㅎㅎ 그리고 2010년에 요네바야시 히로마사 감독이 이 작품 마루 밑 아리에티를 만들었군요.. 요네바야시 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