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여행/공원 문화재 253

수원 화성 - 성곽 주변을 도는 재미가 그 곳에

지난주 수원 화성행궁이랑 같이 둘러보았던 수원 화성입니다.. 수원 화성행궁은 수원 화성 내부에 있고요.. 임금이 임시 거처하는 곳이 행궁이니 당연히 성안에 있어야 겠죠 ㅎㅎ 수원 화성행궁(華城行宮) - 정조대왕의 숨결이 살아있는 곳 - http://naturis.tistory.com/839 사실 제가 돌아본 수원 화성은 전체의 절반 정도, 정확이히는 약 절반도 채 않되게 돌았어요.. 정확히는 화성행궁을 다 보고 수원 화성 서쪽에 있는 팔달산 정상 부근과 서장대를 지나 화서문, 장안문 그리고 팔달문 일부를 보는 정도였습니다.. 화성행궁에서 서장대로 올라가는 계단입니다.. 수원화성 서쪽에 위치한 서장대 쪽이 팔달산 정상부근이라 동네 야산급이긴합니다만 조금의 운동은 각오를 하셔야 합니다.. 수원화성 안내지도 ..

수원 화성행궁(華城行宮) - 정조대왕의 숨결이 살아있는 곳

수원에 들르면 꼭 한번 가고자 마음만 먹었던 수원 화성 일대를 이번에 둘러 보게 되었습니다.. 일대에 여러 갈 곳이 있으니 시간사정으로 인하여 화성행궁(華城行宮)과 화성만 둘러보았습니다.. 행궁(行宮)이란 임금이 외출시 잠시 머무는 별궁입니다.. 화성행궁은 일제대 파괴되었다가 최근에 복원되었습니다.. 수원역 4번출구 북쪽 버스정거장에서 11, 13, 36, 39번 버스를 타고 종로삼거리(화성행궁앞)에서 하차.. 서울에서는 강남, 양재에서 좌석버스 3000번 이용해서 화성행궁에서 하차... 수원 화성의 한쪽이 걸쳐있는 팔달산 서장대에서 내려다본 화성행궁입니다.. 생각보단 넓지는 않아요.. 임시 거처이니 클수는 없죠.. 앞쪽의 화성행궁광장과 화성행궁의 면적이 거의 비슷하다고보면 됩니다. 화성행궁광장에서 바라..

"덕수궁 풍류" 목요상설공연에 가 보았습니다.

지난 목요일에 덕수궁에 갔다가 국악공연을 보고 왔습니다. 솔직히 덕수궁에는 볼만한게 별로 없습니다.. 우선 궁자체도 워낙 작기도하고요... 궁궐 이미지와 맞지않게 이것저것 잡다한 시설이 있습니다.. 위 사진처럼 궁궐에 세종대왕상은 많이 어색하죠.. (카메라 설정을 실수로 iso 51200으로 설정했더니 노이즈가 자글자글하네요..) 그 볼것 없는 덕수궁에서 볼거리를 좀 보탠것이 이번에 보게 된 목요상설공연 "덕수궁 풍류" 라고 보면 될겁니다. 공연이 시작한지가 벌써 몇 개월째이고 아직 두달 좀 못되게 공연이 남아있네요. 자세한 공연 정보를 소개하면.. 4월 28일 ~ 10월 6일 매주 목요일 19:00 덕수궁 정관헌 무료입니다.. 단, 덕수궁 입장료가 성인기준 1천원입니다.. 공연이 있을 덕수궁 정관헌입니..

천안박물관 - 선사유물부터 근현대유물까지

요즘 비가 너무 자주 내립니다. 중부지방에 큰비가 내릴거라는 일기예보에도 불구하고 비소식에 구해받지않고 가볼만한 곳을 찾았는데 천안에 천안박물관이 있더군요. 근처에 볼일도 있고 해서 겸사겸사 구경갔다 왔습니다... 관람시간 - 하절기 (3월~10월) : 오전9시~오후6시 - 동절기 (11월~2월) : 오전9시~오후5시 정기휴관일 : 매주 월요일/1월1일/설,추석 당일 입장시간 : 관람종료1시간전까지 주요 전시실 : 천안고고실, 천안역사실, 천안삼거리실, 기획전시실, 교통통신실, 어린이전시실 기타 야외공연장, 산책로, 전통가옥 등의 시설이 있습니다. 천안시내버스 : 12, 70, 660, 700, 711, 720번 승차후 천안박물관 정거장에서 하차. 참고로 모든 버스가 천안전철역 또는 천안종합버스터미널을 ..

선유도의 미륵부처가 극락정사로 간 까닭은?

한강의 여러 섬들 중에 선유도가 있습니다. 선유도 공원이라고 잘 알려진 이곳도 한때는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는 봉우리였습니다.. 선유봉(仙遊峰), 그 것이 해방전까지만해도 선유도의 원래 이름입니다. 조선시대까지만해도 선유봉(仙遊峰)이라는 한자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신선이 놀다갈 정도로 빼어난 곳이었나 봅니다.. 지금도 충분히 경치가 좋다고 말씀하실 분들도 계실지도 모르겠지만 조선시대 수묵화 한 장을 보시면 지금이랑은 차원이 다르구나 하는 것을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바로 겸재 정선이 한강의 절경을 그린 "선유봉" 이란 작품으로 당시만해도 "선유도"란 섬이 아니라 주변이 모래밭으로 둘러쌓인 한강변의 작은 봉우리였습니다. 과거의 선유봉, 선유도 조선시대 지도 속에는 분명하게 한강 건너편에 선유봉이라는 지명..

노량진 노들역 "배수지 공원(수원지 공원)"

노량진 부근에 의외로 쉬러 갈만한 데가 좀 있는데, 이번에 가본 배수지 공원(수원지 공원)도 그렇습니다.. 배수지 공원이란 이름은 원래 배수지였는데 공원화해서 그런겁니다.. 노량진 정수장이 1910~2001 년 동안 존재했었네요... 그런데 지도상의 이름과 지하철역내 이름, 그리고 공원 표지말에 적힌 공원이름이 "배수지 공원"과 "수원지 공원" 두 가지로 쓰이고 있어서 혼동을 주더군요... 공공기관간 협력을 제대로 못하네요.. 지하철 : 9호선 노들역 2번출구 버스 : 150, 151, 152, 360, 363, 462, 500, 504, 507, 605, 640, 751, 752, 5517, 5531, 6211, 6411, 9408 지하철과 버스를 내리면 바로 보입니다.. 바로 5~10분 거리에 사육신..

경기도립 물향기수목원 - 이름만큼이나 좋았던 꽃과 나무들이 있는 곳

경기도립 물향기수목원입니다. 장마후 무척 더운날 갔는데 가져간 카메라가 뜨겁게 달아오를 정도로 햇살이 강하더군요. 수목원에 가는 주된 이유는 나무와 꽃을 보고 향기에 취하러 가는 것인데 사실 여름이라 꽃구경을 별로 못할것이라 생각했는데 다행히 여러 여름꽃들이 피어있습니다. 경기도립 물향기수목원은 아마도 철도에서 가장 가까운 수목원일것 같습니다. 가는 법과 관람이용에 참고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하철 1호선 오산대역에서 하차 - 2번출구로 나옴. 길건너 맞은편 수목 많은 곳이 물향기 수목원임.. 도보 5분거리.. 하절기(3월~10월) - 오전 9시~ 오후 6시 동절기(11월~2월) - 오전 9시~ 오후 5시 단, 매표마감은 관람시간 종료 1시간 전 휴원 : 매주 월요일(월요일이 공휴일 또는 연휴와 겹..

천안 향교

천안 근교에 있는 태조산, 흑성산 연계산행에서 태조산 자락 끝에 자리한 천안 향교에 들렀습니다. 천안종합버스터미널 또는 동부천안역(기업은행앞) 에서 15번, 51번 시내버스를 타고 "향교앞"에서 하차후 5분 거리 향교는 지방중고등교육기관입니다.. 국립이고요... 서울에는 국립인 4부학당이 있었습니다.. 사립으로는 서원이 있었고요... 초등교육기관으로는 서당이... 그리고, 최고교육기관으로는 국립인 성균관이 있었고요.. 향교 건물에 대해 설명을 하자면.. (향교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거의 동일하다고 보면 됩니다) 마치 게임속 포탈과 같은 느낌의 홍살문.. (이런 문을 홍살문[紅살門]이라고 부릅니다. '살'은 우리말입니다. 붉은 살로 지은 문이라는 뜻죠. 홍문(紅門), 홍전문(紅箭門)이라고도 부름니다. '..

아산 현충사 - 경치는 굿, 문화재 복원은 배드

충무공 이순신의 사당이 있는 그곳, 아산 현충사에 가보았습니다.. 어릴적 수학여행차 가보긴 했지만 과연 뭘 봤는지 기억이 안나는 그곳... 근처에 온양온천이랑 연계해서 다녀오시면 좋을 듯 합니다.. 전철로 가든, 시외버스로 가든 공통적으로 시내버스를 타야 합니다. 1. 전철로 가는법 1) 온양온천역 1번출구로 나와서 오른쪽으로 몇 분정도 걸으면 버스정류장(정류장명 : 온양초교)이 있습니다. (또는 정면으로 난 도로로 몇 분 걸으면 오른편 버스정류장(정류장명 : 온양온천역)이 나옵니다.. ) 둘 중 한 정류장에서 버스를 타면 종점이 현충사입니다.. 2) 천안역 1번출구로 나오면 버스정류장이 있습니다.. 현충사종점 버스를 타면 됩니다.. 2. 천안종합버스터미널에서 가는법 현충사종점 버스를 타면 됩니다.. 공..

양천 향교 - 서울 유일의 향교

양천향교... 서울특별시기념물 제8호인 양천향교는 서울시내에 있는 유일의 향교입니다.. 그런데, 오해할 수 있는 것이 있어서 얘기를 드리자면... 조선시대 향교는 지방국립학교라는 점입니다.. 즉, 현재 양천향교 위치한 강서구는 조선시대에는 도성밖 양천현일뿐입니다.. 단지 해방후 서울에 편입된거구요.. 참고로 향교는 지방중고등교육기관입니다.. 국립이고요... 서울에는 국립인 4부학당이 있었습니다.. 사립으로는 서원이 있었고요... 초등교육기관으로는 서당이... 그리고, 최고교육기관으로는 국립인 성균관이 있었고요.. 지하철 9호선 양천향교역 2번출구에서 5~10분 거리입니다.. 편하게 네이버 지도로 보고 가시면 될것 같네요.. 가는 길목에 CU미디어와 흥원사가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 주의할 점은 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