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산식물원 57

산당화(명자나무 또는 홍전조)

산당화(명자나무 또는 홍전조) - 한국, 중국이 원산지인 장미과 식물입니다 명자꽃, 당명자나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학명은 Chaenomeles lagenaria. 안산식물원 중부식물원 한쪽에 제일 이쁘게 피어있던 꽃인데 식물원에서 게시한 이름은 "홍전조"입니다. 찾아보니 명자나무를 홍전조라고 부르더군요. 붉게 핀 모습이 붉은 입술을 연상케 할 정도로 강렬합니다. 위의 사진 한장과 다음 사진 한장은 플래쉬없이 온실에 비친 자연광 정도로 찍은 사진입니다. 아마도 위 사진이 실제 색에 가까울 겁니다. 색온도 맞추는 게 쉽지가 않았습니다. 붉은 색과 노란 색 꽃잎들은 특히 떡지듯 번져보이는데 포토샵에서 콘트라스트 조절해야 번짐이 줄어드는데 썩 만족스럽지는 않네요. 링플래시로 찍은 홍전조... 왠지 섬뜩한 느낌..

눈향나무 사이의 별꽃

눈향나무입니다. 바닥에 쫙 깔려있지요.. 눈향나무 사이로 조그만 하얀 꽃이 군데군데 피어올라 있습니다. 눈향나무의 꽃은 아닙니다. 이 꽃은 별꽃(Stellaria media) 입니다. 2개씩 쌍을 지어 모두 10개의 하얀 꽃이 피어있습니다. 안산식물원에서 촬영한 것인데 눈꽃은 일부러 심은 것 같지는 않고 우연히 눈향나무 사이에 핀 것이 아닌가 추측해봅니다.. 별꽃의 잎에는 잔털 같은 것이 달라붙어 있습니다. 작은 꽃도 관심을 가지면 아름다움이 보입니다.. 날이 찹니다. 즐거운 주말 되시길~

암수한그루의 개암나무(헤이즐)

영어로 헤이즐(hazel)이 바로 이 개암나무이고 개암나무 열매가 헤이즐넛(hazelnuts)입니다. 학명(종명)은 Corylus heterophylla 인데 변종이 여럿 있는데 사진찍은 종이 어떤 변종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전래동화에서 혹부리영감이 깨물어 먹던 것이 개암 열매입니다. 그 개암나무를 사진에 담았는데 두 곳에서 촬영한 것입니다. 하나는 안산의 야산인 자연공원에서 야생으로 자라던 것이고 , 또 하나는 안산식물원 온실에서 곱게 자라던 것입니다. 야외에서는 올들어 최초로 발견한게 바로 이 개암나무의 꽃입니다. 개암나무는 3~4월에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데 노란색의 수꽃이삭이 길쭉하게 2~4개씩 피고, 암꽃은 붉은색으로 2~3개씩 핍니다. 개암 열매는 10월에 익는다고 하는데 가을에 확인해 보겠습니..

백매화, 청매화, 홍매화

봄을 알리는 꽃들중 첫 주자들중에 하나인 매화입니다. 봄이 되고 안산식물원에 가봤더니 여러 종류의 꽃들이 피기 시작했는데 사진 찍으러 나온 분들이 꽤 되더군요. 매화 종류가 여럿 피어 있었는데 식물원 온실에도 자리의 영향이 있어서 햇빛 좋은 곳에서는 꽃들도 일찍 핍니다. 동백꽃 종류도 그랬고 매화 종류도 그렇더군요. 식물원에서 본 매화는 백매화와 청매화 그리고 홍매화(추정)입니다. 백매화와 청매화가 햇빛 잘 비치는 곳에 있어서 활짝 핀후 거의 시들어 가는 시기더군요. 대신 그늘에 있던 홍매화는 시든 꽃 없이 싱그럽구요. 우선 백매화입니다. 사실 백매화와 청매화는 눈으로 봐서는 구분이 잘 안갑니다. 다음은 청매화.. 인데 백매화랑 차이를 모르겠다 싶을 정도로 원래 꽃의 백과 청의 빛깔이 구분하기 힘들때가 ..

개구리발톱(Semiaquilegia adoxoides)

개구리발톱(Semiaquilegia adoxoides )이라는 재미난 이름의 식물입니다. 시골의 흔한 무심코 지나친 풀들중 하나가 아닌가 싶습니다. 개구리발톱의 꽃을 보면 바깥쪽의 하얀 꽃잎같이 보이는 것은 꽃이 아니고 꽃받침잎입니다. 그 안에 노란 꽃이 진짜 꽃인거죠.. 꽃사진 찍다보니까 꽃받침잎을 꽃잎으로 오해하고 있던 경우를 어렵지않게 찾을 수 있더군요.. 꽃받침잎입니다.. ^^

당종려와 엘레강스야자

안산식물원에서 촬영했던 당종려(Trachycarpus fortunei)와 엘레강스야자(Ptychosperma elegans)입니다. 두 식물다 흔히 들어본 이름은 아니죠. 생물도 비슷비슷한데 둘다 야자나무과의 식물이라 그렇습니다. 처음 볼 식물은 당종려.. 줄기가 두껍고 털같은 구조가 잔뜩 달라붙어 있습니다. 마른 털이 달린것 같은 줄기를 보니까 불쏘시개로 잘 탈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열대에서 불피울땐 이걸로 쓰면 좋을 듯... 당종려의 방사형 잎사귀. 다음은 엘레강스야자... 이름이 참 엘레강스 하지만 모습이 딱히 엘레강스해 보이지는 않습니다. 줄기가 마디가 달린게 대나무랑 약간 비슷합니다. 엘레강스야자의 잎을 여름에 실내외에 장식해 놓으면 엄청 시원해 보일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붕에 이엉..

개나리를 닮은 영춘화(迎春花 : Jasminum nudiflorum)

흔히들 개나리를 닮아서 혼동하게 되는 영춘화(迎春花 : Jasminum nudiflorum ) 입니다. 분류계통상으로는 꿀풀목(Lamiales) 물푸레나무과(Oleaceae ) 재스민속(자스민속 : Jasminum) 의 영춘화(Jasminum nudiflorum) 종입니다. 그런데 네이버의 두산백과에는 영춘화는 개나리와 함께 용담목 물푸레나무에 속해 있다고 표기를 해두었고, 대부분의 포탈검색에서도 그렇게 나옵니다. 하지만 저의 의심병으로 인해 외국의 자료도 그러한가 검색해 봅니다. 국내 포탈에서 검색된 자료는 공식인것 같은 자료도 틀린 경우가 꽤 있거든요. 위키피디아에서는 꿀풀목(Lamiales)의 물푸레나무과(Oleaceae )라고 나옵니다. 네이버 두산백과와는 다르네요.. 찾아보니 네이버 두산백과에서..

봄이 오는 안산식물원에서

제가 꽃사진 찍으러 한달에 한번은 꼭 들러보는 안산식물원입니다. 봄이 얼마나 왔는지 확인도 할 겸 들러 보았는데 아직은 좀 기다려 봐야겠다는 것을 확인하고 돌아왔습니다. 몇몇 꽃들이 피어 있긴 한데 순수하게 봄이 되서 폈다기 보다는 식물원 온실이라는 조건하에서 피어있었다고 봐야 될 듯 하구요.. 안산식물원의 상징. 열대온실의 피라밋 유리창.. 아직은 춤고 야외에서는 전혀 싹트는 조짐도 찾아볼 수 없더군요.. 온실에 피어있던 제랴늄 종류의 꽃.. 봄소식은 아니고 이 녀석들은 겨울내내 드문드문 피어있더군요.. 몇 송이 피어있던 하얀 꽃.. 아마도 백도라지꽃이 맞을 겁니다. 그리고.. 확실히 봄이 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동백꽃.... 겨우 두 송이 정도만 햇빛 가까운 온실 천장 쪽으로 피어 있더군요.. 아마도..

호랑가시나무와 구골나무

호랑가시나무와 구골나무라는 재미난 이름의 나무가 있어서 소개해 봅니다. 안산식물원에서 지난달에 촬영했던 것인데 비슷한 자태와 분위기의 초록빛 나무가 붙어 있더군요. 하나는 호랑가시나무, 또 하나는 구골나무입니다. 구골나무(; holly olive , 枸骨 ; 학명은 osmanthus heterophyllus) 는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식물이고, 호랑가시나무(묘아자나무, 학명은 Ilex cornuta) 는 노박덩굴목 감탕나무과의 식물입니다. 호랑가시나무의 원산지는 한국과 중국의 남부이며 한국에서는 전라북도 이남의 해안 산지에 자란다고 합니다. 두 나무가 비슷해서 혼동하는 경우도 있고, 구골나무의 경우에는 구골목서라고 불리우는 경우도 있는데 오류라고 하네요. 구골나무와 은목서의 교배종이 구골목서라는 설명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