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슨 가족의 경우는 드물 예라고 하더라도... 살다보면 길거리에서나 지하철에서 간질발작을 하는 행인을 아마도 한두번 정도는 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이럴때면 어찌 해야 할지 몰라서 난처해 하셨을 겁니다.. 저또한 그랬고요..
정말 난감하지요...구경만 해서 죄책감도 들기도 하고요...
이럴 경우 간단한 응급조치 정도만 알아두어도 간질발작하는 환자에게는 큰 도움이 있을 겁니다.. 잘못된 대처로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을 만드는 일도 없을 것이고 오히려 생명을 살려낼 수도 있겠지요..
무엇보다 간질은 누구나 갑작스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기 자신이거나 가족 또는 친구일 수도 있겠지요..
단순한 지식이지만 알아두면 생명을 구할 수도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간질발작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법을 배워보겠습니다..
(자료는 외국사이트에서 찾아서 나름대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그림 출처도 전부 외국... -_-; )
간질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는 간단하지만 몇가지 순서에 다른 조치가 필요합니다..
보통 간질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영문표기로 tonic-clonic(대발작), seizure(발작), epileptic(간질) 등으로 쓰는데요...
종류는 크게 대발작(전신성 발작, tonic-clonic)와 부분 발작으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쓰러져서 몸부림치는 경우가 대발작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외에도 압상스 발작(순간적으로 수초에서 수십초간 의식을 잃는 경우)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우리가 주로 발견하는 경우도 대발작이 많지요.. 개인적으로 부분 발작하는 환자는 본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설명도 대발작의 경우 위주로 설명을 하겠습니다..
아래는 간질 환자에 대한 응급조치법을 설명하는 동영상입니다..
http://youtu.be/b1kW3EqwJ8w
http://youtu.be/WP4NZcfadIk
http://youtu.be/L-8PJaMLSBg
<대발작(tonic-clonic) 의 경우>
발작의 증후 및 진행
- 비정상적인 우스꽝스러운 몸동작을 보인다..
- 몸이 뻣뻣해지고 (경직, tonic) , 의식을 잃으며, 바닥에 쓰러진다.. 그리고 경련 (clonic) 을 하게 됩니다..
- 위의 증세는 갑작스래 발생하며 불규칙한 호흡때문에 환자의 입주위에 푸른 기운이 돌 가능성이 높다..
- 발작 진행후 대소변의 콘트롤 능력 상실이 일시적으로 생길 수 있다..
<사진 출처 : http://www.epilepsy.org.uk >
필요한 조치
1. 보호자 자신이 침착해야 한다..
2. 간질병에 대한 정보를 담은 카드같은 것이 있나 찾아본다..
3. 구경꾼들을 물리치고..
4. 더 이상의 부상을 막는다.. 환자가 다치지 않도록 주변환경을 정리한다..
5. 환자를 모로 눕게 하고 머리에는 쿠션을 해준다...
6. 이때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머리가 약간 젖혀지게 해주고...
7. 환자를 최대한 편안하게 해주어야 하는데 절대 환자를 억누르지 마라... (그냥 편안하게 움직임을 놔두라)
8. 발작 시간을 체크해야 하는데.. 이때 발작이 5분이상 계속되면 119 를 불러야 한다..
(보통의 간질 환자는 5분내에 의식을 회복된다)
9. 발작이 끝난후 구토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환자가 충분히 정상이라고 생각될때까지 머리를 옆으로 돌린채로 두어야 한다..
10. 의식이 회복하여 충분히 안전하다고 생각될 때까지 환자 곁에 있는다..
하지 말아야 할 것
1. 절대 환자의 움직임을 막지말것... 즉, 몸부림친다고 억누르거나 하지 말것..
2. 입안에 절대 아무것도 넣지 말것.. 물이든 음식이든 보호자의 손가락이든... 간질 환자는 의식이 없어서 어떤 것도 삼킬 수 없는 상태이다..
즉, 환자의 기도를 막을 수 있으므로 절대 주의해야 한다..
3. 위급한 상황이 아닌한 환자를 이동시키지 말것..
4. 의식을 찾게 하려는 어떤 시도도 하지 말것... 즉, 흔들거나 말을 걸거나 하는 불필요한 행위를 하지 말것...
언제 119를 불러야 하나.. 이중 어느 경우에라도 콜할것...
1. 최초로 간질 발생한 경우 (즉 이전에는 간질 증상이 전혀 없을 경우) 또는 환자와 초면이라 그 환자가 어떤 상황인지 모를 경우...
2. 발작이 5분이상 진행될때..
3. 환자가 부상당했거나, 토할 경우...
4. 발작 후 의식이 돌아오지 않을채로 다시 2차 발작이 시작될 경우...
5. 기타 응급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될 경우...
즉, 간질 발작자와 초면인 사이라면 무조건 119를 부르고 구조대원이 도착할 동안까지 지켜봐주는게 맞겠죠..
(선진국의 경우엔 이럴 경우를 위해 환자 몸에 환자 증상에 대한 정보 태그를 가지고 다니는 것 같은데 우리나라는 어쩐지 모르겠네요..)
<부분 발작(partial seizure)인 경우 : 복합 부분발작 위주>
부분 발작의 증후
: 부분 발작에는 단순 부분발작(simple partial seizure)와 복합 부분발작(complex partial seizure)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단순 부분발작의 경우에는 의식에는 별다른 이상이 없으나 간단한 자각증상이나 국소적인 경련이 있을 수 있는 경미한 증세를 말하며..
복합 부분발작은 아직 바닥에 쓰러질 정도는 아니고 환자가 주변환경을 의식하지 못하거나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환자가 자신의 옷을 잡아당기거나 자신의 입술을 때리거나, 반복적으로 침을 삼키거나 주변을 정처없이 돌아다는 등의 이상 증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아래 설명은 복합 부분발작의 경우입니다...
필요한 조치
1. 환자를 위험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안내하고...
2. 의식이 돌아올때까지 옆에 머무르면서 상태를 살핀다..
3. 환자를 침착하게 안심시킨다..
4. 환자에게 상황을 설명해 준다..
하지 말아야 할 것
1. 환자를 억누르지 말것..
2. 환자를 놀라게 하는 동작을 하지 말것...(예: 갑작스런 움직임 또는 소리지르기)
3. 환자가 지금 발생하는 상황을 인지하고 있을 거라고 판단하지 말 것..
4. 환자의 의식을 되찾게 하려는 어떤 시도도 하지 말것... 흔들거나 말을 걸거나 등등
글을 마치며..
저자신도 그런 응급 상황에서의 난처해 하는 제 자신이 싫기도 하고... 궁금하기도 하고 해서 간질병 환자의 실제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법에 관한 자료를 찾아봤는데 국내에는 정말 드물더군요... 동영상은 전무하고요...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솔직히.. 대한민국, 부끄럽습니다... 자기네 병원 선전하는 동영상만 있을 지언정 제대로된 간질환자에 대한 대처법 동영상 하나 안 올라와있으니...
이 분야의 종사하는 분들도 너무 무심하시지... 자신의 업무가 아니더라도 이정도는 그냥 동영상 촬영해서 올릴 수 있으련만..취미삼아서라도요 ^^;
적어도 정부 당국에서라도 이런 동영상 정도는 인터넷에 올려줘야 하는 거 아닌가요...? 혹시 자기네만 아는 검색도 안되는 곳에 동영상을 올려놨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비슷한 경우로 가끔 정보를 찾아 외국사이트를 돌아다니곤 하는데 정보의 양과 질에서 대한민국의 지식정보는 현격히 초라해보이더군요.. 국내 검색 사이트에서는 사실상 찾기도 힘들어요... 조금이라도 전문적이다 싶으면 검색 불가가 맞습니다... 아니면 정보를 나누는데 인색한건지..
역시 대한민국은 시스템이 문제라는 생각이 듭니다.. 대충 얼렁뚱땅... 그때 그때만 해결하면 되지 다음을 위해서 노하우나 지식 정보를 정리하지도 않고 표준화하지도 않고... 회사에서도 프로젝트를 하면 메뉴얼로 남기고 그러는데 말이죠...
(우리나라는 정말 표준화에 인색하죠.. 십년전엔가 한국표준색표를 처음 제정했다고 할때 정말 놀라웠었죠...-_-; )
이번에 구제역 처리하는 거 봐봐요.. 이게 무슨 정부 위기관리 시스템인가요...? 대충 윗사람의 지시로 처리되는 것 안봐도 그냥 알 수 있습니다요.. 위기관리 메뉴얼이 있기라도 한건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다른 곳에서 돈 샌다는 건 모르고, 정말 밑빠진 독에 물붙기지.. 그저 백날 노동시간만 늘리려고만 하고요...
가만보면 우리나라는 인터넷이고 뭐고간에 돈되고 먹고 노는데만 정보가 쌓이지... 그나마 그것때문에 한류가 생겼다고 자위해야 하나요???
한류 그런거 없어도 좋으니까 일본처럼 기초과학에서 노벨상 수상자좀 많이 나왔으면 좋겠는데요?
장담컨데 100년이 가도 선진국은 어림없어요... 100년이 지나도 그놈의 선진국 타령만 하고 있을 겁니다...
대한민국에 악담을 좀 했습니다.. 박노자 교수처럼? ㅋㅋ
쓰다보니 주절주절 두서없는 생각나는데로 쏟아놨네요... 어쩌겠습니까 제 포스팅 제 맘대로 쓴다는데요 ㅋㅋ..
악플이 달려도 할수 없겠죠? ^^;
그냥 제가 포스팅하면서 외국사이트 좀 돌아다니다보면 그네들이 좀 부러워서.. 대한민국이 안타까워서 지껄인 것으로 이해를 바랍니다...
'건강과 다이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 진단 - 보건소에서 헤모글로빈A1C(당화혈색소) 검사 받기 (4) | 2013.02.06 |
---|---|
당뇨병에 좋지 않은 음식들 (6) | 2013.02.06 |
간질 발작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법 (60) | 2013.02.05 |
화학물질 중독 - 페트병은 얼마나 안전할까 (23) | 2013.02.05 |
우울증 - 원인과 진단, 그리고 대처법 (17) | 2013.02.05 |
유전자조작식품(GMO)에 대해서 (67) | 2013.02.01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그런데 억지로 신체의 발작을 제압하는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데
어떻게 손을 머리 밑에 베게 하고 옆으로 돌릴 수가 있죠?
손의 발작이 심하면 그렇게 하기도 힘들 것 같은데..
ㅎㅎ 저도 전문가는 아니라 명확히 답변은 못드리겠지만, 머리를 옆으로 돌리게 할때는 어느정도 제압을 하긴 해야겠죠? ^^;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솔직히 우리나라 전문지식 찾는거 인터넷에선 하늘에 별따기죠...완전 공감합니다....
사람들의 인식이 아직 후진국 수준이죠 윗 말씀대로 먹고 노는대만 엄청 발달되어있고
정작 기초적인 필요한 부분은 정말 전무후무 하군요..
부끄럽기 그지 없습니다.
저희같은 깨우친 사람들이 이 나라를 바꿔나가는수 밖에 없습니다.
확실히 우리나라는 응용에는 강하나 기초에는 약한 느낌이 들긴 합니다.
그것이 국민의 생명과 관련되어 있다면 더 심각한 문제일듯 싶습니다..
우선 정부에서 신경을 더 써야 되지싶네요..
좋은 정보 정말 감사해요^^ 저도 대한민국 국민이지만 정말
고칠부분이 많은 나라죠~ 글을 읽다가 궁금해서 문의합니다
움직이는 지하철 안에서 간질환자가 발생을 하면 어떻게 해요??
우선 119에 신고를 하라고 했는데 신고를 한 후에
지하철을 세워야 하는거겠죠??
저도 전문가는 아니지만..
우선 119에 연락해서 다음 정거장에서 119대원이 기다리게해서 병원으로 이송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맞아요 저도 오늘 두번째로 이런 상황을 겪게됬는데 곧 지하철요원들이 데리고 가긴 했지만 옆에서 구경만 한 저를 생각하니 제 자신이 너무 쓸모없게 느껴지고 화가 나더라구요..제가 지하철 폭행같은 사건들을 바라만 보는 사람들이랑 같은 사람일까봐 너무 당황스럽고 화났어요..
솔직히 간질에 대해 모르는 일반인들로선 당황할 수 밖에 없을겁니다..
네~감사합니다!!
근데 다음정거장까지 119대원들이
빠른출동을 할지 걱정입니다~
만약 이런 상황이 닥친다면 정말
어찌할지 몰라서 그냥 두고 봤을것 같아요
좋은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가장 빨리 응급실에 가는 법은 119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믿고 기다릴수밖에요.. ^^
어렸을때부터 저희 형이 앓고 있습니다.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3년이 지나서야 찾아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게되었어요.
요즘엔 많이 좋아져서 직장생활도 하고 발작을 직접 본게 언제 인지 기억이 나질 않지만 예전에 생각해보면 아무것도 하지못하고 무서워만 했거든요. 처음으로 검색을 해봤는데 좋은 정보를 올려주신 곳에 와서 기쁩니다. 좋은정보 고맙습니다.
어릴적부터 형의 모습을 보면서 가족들이 알게모르게 고통이 심하셨을 것 같네요..
그래도 당사자인 형의 고통은 훨씬 더하겠지요.. 관심과 이해가 고통을 나누는 지름길인것 같습니다..
지당하고 좋은 말씀이십니다. 우연히 왔다가 많은 걸 느끼고 갑니다.
우와~
친구들한테 이거보여줘야겟어요.
엄청큰도움이 될것같아요
감사함니다~
알아두시면 도움 될 거예요..
당황하지 않고 차근차근.. ^^
정말부끄럽군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간질에 대해서 더 많은 정보올려주세요 전 성인이되어서 간질이란 증상을 경험하게되었는데요 그로인해 이혼하고 지금은아이와 둘이 살고 있습니다 이제 아이가마니 자라서 정말 이병을 고치고싶습니다
오늘 바로 그런 경험을 했습니다
어찌할바를 몰라 사혈을 하고 심페 소생술을 하고 .......
너무놀라 입맛도 없고 가슴이 답답 합니다
그분이 너무 가여워서 가슴이 아픔니다
어렵게 구한 직장인데 또다시 직장을 잃게 되실 겁니다
그래서 더욱 가슴이 아픔니다
모두들 전염병이 아니니 편안하게 받아들이고 그분을 도와 드리면 좋을텐데.......
많이 놀라셨겠습니다..
실제로 겪으면 당황스럽고 안타까울것같습니다..
아무쪼록 그 분에게 나쁜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간질발작해서 알지만
솔직히 말하자면 언제 일어날지 모르기때문에 간질환자들은 불안과 두려움,무서움을 많이 가지고 있어요.
저 또한 그렇구요...
저는 처음에 간질이라는걸 인정을 못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인정을 하고 이제 떳떳하게 간질환자라는걸 말하고 다니고,
일하고 있지만 동료들에게 간질이 있으니 대처해달라고 말씀드렸죠...
솔직히 안좋은 인식과 편견이 많아 간질환자들이 사람들에게 말을 안하는경우가 많습니다...
말을 하는것보다 말을 안하는게 더 나쁩니다. 나중에 다 드러나니깐요...
저 또한 그렇더라구요...
저도 지나가면서 보았고,이렇게 동영상으로도 대처법도 보았구요...
나중에 길에서 지하철,버스에서 간질발작 환자가 생기면 대처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모든분들 대처법 숙지하시고 힘내세요*^^*
좋은 정보였습니다.
감사드립니다.
네. 즐거운 주말되세요~
오늘 을지로 지하철에서 간질발생한 분을 봤습니다. 처치법을 모르니 섣불리 나서기 뭐해 지나친 후 인터넷 검색해보게 되었습니다. 다음부터는 도움이 될 수있겠네요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덜 당황하실 겁니다 ^^
동영상이 안나오는데 나올 방법없나요 ㅠㅠ 영상이 필요해요
동영상이 안나오는데 나올 방법없나요 ㅠㅠ 영상이 필요해요
유튜브에서 seizure remedy나 seizure first aid 로 검색해보면 좀 나올겁니다..
http://youtu.be/WP4NZcfadIk
추가로..
http://youtu.be/L-8PJaMLSBg
http://youtu.be/owXhSD7XwUk
http://youtu.be/njaPASSsbQg
http://youtu.be/b1kW3EqwJ8w
원래 본문에 걸었던 동영상이 제일 좋았는데 사라졌네요 ㅠㅠ
안녕하세요저는영미라고합니다
저도발작간질본적있어요ㅠㅠㅠㅠㅠㅠ
인천에사는어떤동생이있었는데요갑자기발작을하기시작했어요
저도몰랐어요어휴ㅠㅠㅠㅠㅠㅠ
당황하셨겠네요..
다음에는 당황하지 마시고 대처하시면 두분 모두에게 좋을 것 같습니다.
위험한 물건 치우시고, 절대 결박하지는 마시고....
네
seizureplastaid인데요
고등학생이나 됐는데 간질 증상도 얼마전에야 알았네요
무척 심각한 병인줄 알았는데 대처만 잘 하면 금방 해결할 수 있다니 참 다행입니다
고등학교에 올라오고 나니 일년에 한두번씩은 겪는 일인데
학교에서 CPR 외에 간질 응급처치법도 알려주면 좋을것 같아요
아는 만큼 대처능력도 나아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본인만큼이나 가족이나 주변사람들도 당황스런 일이 생길 수 있을 텐덴요, 우선 본인이 간질 증상에 대해 확실히 습득해 두고 나아가 주변사람들에게도 대처방법을 숙지시켜 주는게 최선이구요..
간질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최선의 대처법 더 나아가 치료법에 대한 정보를 업그레이드 해두시는게 좋지 않을까 싶네요... 힘내세요~
딸 대학졸업식에가서 학생이 쓰러졌있는걸보았네요.부모된입장에서 걱정이 앞서는데 처음보는지라 대처도 못하고 눈물만 찔끔 거렸네요.119가 와서 실려가는보고 나서야 안도에한숨을 쉬었는데요.이제는 방법을 알았으니 더 이상은 발만동동거릴일은 없겠어요.좋은 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도움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생각보다 간질 질환 가진 분들이 많이 잠재해 있다고 보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단지 그 상황을 못 봤을 뿐이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