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산 학바위능선에 있는 국기봉에서 찍은 동영상입니다.
비가 올듯한 흐린 날씨라 바람이 좀 불어서 태극기가 잘도 휘날립니다. 꼭 국기라서가 아니고 뭔가 휘날리는 것을 바라보는 것만으로 즐겁더군요.
사용한 카메라는 삼성 VLUU WB500 입니다. hd동영상 모드인데 그런데로 괜찮은듯 합니다.
'펜타프리즘 >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악산 연주대 정상부근 동영상 (2) | 2009.11.09 |
---|---|
오르는 사람들 (동영상) (4) | 2009.11.08 |
펄럭이는 태극기 (동영상) (4) | 2009.11.08 |
가을2 (2) | 2009.11.03 |
가을1 (2) | 2009.11.03 |
여름 (0) | 2009.11.03 |
삼성 디카에 대해 잘 아시면 추천 좀 해주세요.
요즘 농어촌을 돌아다니며, 사진을 가르치는데......
작은 디카 계열을 잘 몰라서요.
그들의 농산품도 찍고, 농장도 찍고 그럴 수 있는 편리한 기종으로요. ^.^
삼성 디카 써본게 없지만 이리저리 알아보고 제가 구입한게 wb500 기종인데요. 괜찮은거 같아요. 장점이자 단점은 일반 디카보다 좀 큰편인데 손이 상대적으로 큰 남자들에게는 유리할 듯하고요, 광각(28mm)에 10배줌 망원을 가진 카메라가 이 가격대에는 wb500 말고는 없어요. 거기다 hd동영상도 촬영도 지원합니다. 메뉴얼 기능이 좀 약한데 농장에서 쓰실거면 별로 필요없는 기능이겠죠? 그래도 아주 약간의 메뉴얼 기능은 있어요. Slr카메라의 TV, AV기능이 없다는 것도 단점. 조리개 조절치가 좁다는 것도 단점인데,이런건 수동기능에서의 문제이므로 패쓰... 같은 급에서는 캐논하고 파나소닉(독일 롤레이던가 어딘가 회사제품을 씀)이 좋긴한데 가격이 더 비싸고요. as랑 사진품질도 좋은 듯 해요. 제가 참고한 사이트는 그래도 믿을만한 외국 사이트인데 http://www.cameras.co.uk/reviews/samsung-wb500.cfm 입니다. 좀 더 싼거중에 이중손떨림 되는거 중에서는 올림푸스가 성능이 좋아보이는데 microSD만 지원되는 단점이 있구요. 가격은 wb500보단 좀 쌉니다. 회사는 삼성, 올림푸스, 캐논 중 하나로 고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니콘은 똑딱이에서는 별로 인듯... 이상 제가 아는 거 전부... -_-;
감사합니다. ^.^
농산품을 찍을 때는 '색깔'이 중요합니다.
그럴 때, 필요한 기능은 '노출보정'인데, 그 버튼이 바깥으로 나와 있나요?
그것이 메뉴 안으로 들어가 있으면 쓰기 힘들어서요.
노출보정 버튼 따로 나와있습니다. 메뉴로 들어가는게 아니고 따로 노출보정 버튼 있습니다. 자동모드&메뉴얼모드에서는 안되고 프로그램모드에서만 노출보정이 됩니다. 메뉴얼모드에서는 노출보정 버튼 안되고 대신 조리개&셔터스피드를 조정해야 합니다(근데 이건 메뉴안에 있어서 좀 불편합니다.)